운전면허번호 조회 방법 (인터넷 조회, 앱 조회, 콜센터)


갑작스럽게 운전면허증 번호를 써내야 하는 상황이 생겼는데 실물 면허증이 없는 경우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인터넷 조회, 모바일 앱 조회, 콜 센터 전화 조회 방법을 소개해 드리니 편하신 방법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바쁘신 분들을 위해 아래 온라인 간편 조회 사이트 주소를 남겨드립니다. 👉



운전 면허 번호 각 숫자의 의미



자동차 운전 면허증은 11-22-33333-45와 같은 12자리 고유 번호로 표기되어 있으며 각 숫자의 의미는 아래와 같습니다. 

맨 앞 2자리: 운전면허 최초 발급 지역

  • 서울 11 / 부산 12 / 경기 13 / 강원 14 / 충북 15 / 충남 16 / 전북 17 / 경북 19 / 경남 20 / 제주 21 / 대구 22 / 인천 23 / 광주 24 / 대전 25 / 울산 26 / 경기 북부 (의정부) 28
  • 2014년 7월 1일 이전에는 각 지역의 명칭으로 표기되던 것이 이후에는 숫자 표기로 변경되었습니다.

두 번째 2자리: 운전면허 최초 발급 연도, 예를 들어 2024년 최초 발급받은 경우 24로 표기됩니다.

세 번째 6자리: 6자리 숫자는 각 운전 면허증의 고유 번호입니다.

마지막 2자리: 2자리 '45' 중 '4'는 체크섬 번호로 데이터 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번호이며 운전면허 번호가 악용되는 등의 사고를 어느 정도 방지하기 위해 끼워 놓은 숫자입니다. '5'에 해당하는 숫자는 재발급 횟수입니다. 최초 발급 시 '0'으로 표기되며 재발급 횟수에 따라 1, 2, 3 등으로 표기됩니다.


인터넷 조회 방법 (경찰청 교통민원 24)



👉 조회 순서

1) 경찰청 교통민원24 홈페이지

2) 하단의 운전면허조회 선택


인터넷 조회 방법 (경찰청 교통민원 24)

3) 간편 인증, 금융인증서, 공동인증서, 또는 디지털원패스 본인인증

4) 면허정보 열람

  • 기본정보: 면허번호
  • 상세정보: 주소지관서, 주소, 소지종별, 면허상태, 취소내용, 면허조건 (자동, 수동), 적성검사(갱신) 일자, 적성검사(갱신) 기간, 적성검사(갱신)지, 재발급일자, 재발급사유 확인 가능


인터넷 조회 방법 (정부 24)



👉 조회 순서

1) 정부24 홈페이지 검색창

2) '운전면허' 입력

3) '운전면허 정보' 선택


인터넷 조회 방법 (정부 24)


4) '조회하기' 클릭

5) 이름, 주민등록번호 입력 및 입력확인 숫자 입력

6) 간편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금융인증서 본인인증

7) 운전면허정보 열람

- 면허번호, 주소지관서, 주소, 면허상태, 취소일자, 적성검사(갱신) 일자, 적성검사(갱신) 기간, 적성검사(갱신)지, 재발급일자, 재발급사유 확인 가능


카카오톡 앱 조회 방법


PC 이용보다 모바일 앱이 편하신 경우 이용하시면 좋습니다. 카카오톡을 통해 각종 민원서류를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운전경력증명서 다운로드를 통해 운전면허 번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조회 순서

1) 카카오톡 실행

2) (우측 하단) 더 보기 > 지갑 > 전자문서 > 전자증명서 발급 선택

3) 발급신청 하단의 운전경력 증명서 선택

4) 표시 정보 및 발급사유 선택 > 인증 후 신청하기 클릭

5) 본인 인증 후 발급 완료

6) 보유 중인 운전면허의 번호 항목에서 운전면허 번호 조회 가능


경찰청 콜센터 전화 조회 방법



PC나 모바일 검색보다는 전화가 편하신 분들은 경찰청 민원콜센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확인 순서

1) 경찰청 민원 서비스 번호 182 (유료)로 전화

2) 교통 관련 조회 2번 선택

3) 본인인증

4) 운전면허 정보 조회 3번 선택

5) 본인 휴대폰 문자로 운전면허 번호 수신됨


이상 운전면허증 번호 확인 방법 4가지를 알려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음 이전